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CP2

Socket을 닫은 뒤 바로 쓸 수 없는 이유 socket 관련 예제를 진해하다 보면 연결을 끊고 바로 같은 PORT를 이용하는 경우가 잦을 것이다. 그럴 때마다 소켓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것은 TCP 특성상의 이유로 정상적인 현상이다. TCP의 특성에 의한 시스템적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TCP이해 TCP에서는 신뢰성, 단편화등 많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3-way handshaking 3.3/4 연결 종료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는 신뢰성있는 통신을 하기 위해서 이 기법을 사용한다. TCP에서는 세션 관리를 한다. 이는 신뢰성 있는 연결 상태를 확립하기 위해 존재하는 TCP의 특성이다. 이로 인해 반대로 취약점이 있기도 하나 신뢰성있는 통신을 하기 위한 기능이다. 주제처럼 세션을 끊을 때 이 현상이 발생한다. 위와 같이 먼저 FIN을 요.. 2021. 5. 4.
OSI 7 계층 전송계층 프로토콜 전송계층 프로토콜 OSI 7 계층을 봤다면 전송계층을 알 것이다. 전송계층 프로토콜은 여기 나와있는 것 말고도 더 있으나 나머지는 전송계층이라 하기 좀 거리가 멀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다. 전송계층은 수신측까지 전송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이 계층은 오류 검사 기능이 있으며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전송계층은 TCP와 UDP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다. 오류 복구, 흐름 제어, 신뢰성 있는 연결을 담당한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TCP와 UDP이며 그중에서도 TCP가 가장 많이 쓰인다. 전송계층 헤더에는 포트 주소, 소켓, 순서 번호 등이 있다. 전송계층에서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단위를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 그램이라 부른다. 전송계층의 기능 전송계층은 연결제어, 데이터.. 2021.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