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curity,Hacking/Encryption2

공개키 암호, 비대칭키 암호화 RSA 공개키 암호화 (비대칭키 암호화) 공개키 암호는 비대칭 암호화라고도 하며 대칭키 암호화를 할 때 키 전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개인키로 암호화하면 공개키로 복호화하고 공개키로 암호화하면 또 그 반대가 되는 방식이다.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DH, RSA, ECDH등이 있다. 공개키 암호화의 원리로는 소인수 분해, 이산 로그 문제, 타원 곡선의 어려움을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한다. 암호화를 진행한 하나의 키를 알고 있어도 복호화에 필요한 키를 알아내는데 굉장히 많은 연산이 필요하다. 수준급 분산 클러스터 시스템을 쓴다 하더라도 하루 이상이 소모된다. 공개키 암호화를 이용하여 암호화 통신을 하기에는 계산이 너무 복잡하여 매우 비효율적이다. 때문에 대칭키 암호화와 동시에 사용하여 대칭.. 2021. 7. 27.
대칭키 암호화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개요 NIST가 공모하여 한 때 표준으로 이용한 암호 알고리즘이다. 현재는 많이 사용하지 않으며 대부분 AES를 사용하고 간혹 DES 사용하거나 TDES를 사용하기도 한다. 섀넌은 암호다운 암호는 혼돈과 확산을 만족해야 제대로 된 암호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DES는 파이스텔 구조를 기반으로 한 블록 단위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대칭키 암호화로 암복호화할 때 쓰는 키가 동일하다. 때문에 키 분배 문제가 있으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DES의 특징 파이스텔 구조를 기반으로 한 라운드가 있으며 총 16라운드를 실시하여 암호화를 진행한다. 64비트 블록 단위로 암호화한다. 56비트의 키길이를 갖는다. 키 공간은 64이나 1비트는 패리티 비트이기에 실직적으로는 56비트이다 DES 동작 1 .. 2021.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