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계층 프로토콜
OSI 7 계층을 봤다면 전송계층을 알 것이다. 전송계층 프로토콜은 여기 나와있는 것 말고도 더 있으나 나머지는 전송계층이라 하기 좀 거리가 멀거나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다.
전송계층은 수신측까지 전송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이 계층은 오류 검사 기능이 있으며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전송계층은 TCP와 UDP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다. 오류 복구, 흐름 제어, 신뢰성 있는 연결을 담당한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TCP와 UDP이며 그중에서도 TCP가 가장 많이 쓰인다. 전송계층 헤더에는 포트 주소, 소켓, 순서 번호 등이 있다. 전송계층에서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단위를 세그먼트 또는 데이터 그램이라 부른다.
전송계층의 기능
전송계층은 연결제어, 데이터 전송, 단편화 재조립 등이 있다. 모든 전송 프로토콜이 이 기능을 가지는 건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이 기능을 수행하다.
통신방식
두가지로 나누면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이 있다. 연결형 통신의 핵심은 신뢰, 정확성이다. 데이터가 손실 없이 제대로 보내졌는지 확인을 한다. 비연결형 통신의 핵심은 효율, 신속성이다. 데이터가 잘 보내졌는지 및 기타 기능들을 생략하고 확인하지 않는다.
TCP
대표적인 연결형 통신의 대표이다. TCP는 연결을 요청하면 상호 동의 후 연결을 수행한다. TCP는 신뢰성 있는 연결 서비스를 위해 3-Way Handshaking을 수행하며 연결 종료 시에는 4-Way Handshaking(3 1/2 연결 종료)을 수행한다. 슬라이딩 윈도 기능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보통 전송속도의 변화는 이것에 영향이 있다.
순서번호(SYN)와 확인번호(ACK)를 통해 어떤 데이터를 보낼 차례인지 수신이 잘 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헤더의 크기는 20바이트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UDP에 비해 크기가 크다. TCP에서는 데이터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는 단편화를 수행하기에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한 단위를 세그먼트라 부른다.
UDP
대표적인 비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UDP는 TCP에 비해 헤더의 크기가 작고 구조가 단순해 부하가 적다. 주로 적은 양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DNS와 DHCP, SNMP 같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 UDP를 사용한다. 신뢰성이 TCP에 비해 떨어지지만 전송 선로만 안정성이 보장된다면 충분히 신뢰성이 보장된 전송이 가능하다. 주로 즉각적인 끊임없는 스트림 형태의 멀티미디어에서 주로 쓰인다. 주로 게임이나 인터넷 미디어, 라이브, 스트리밍 등에 사용된다.
SPX
IPX/SPX로 Netware의 연결지향형 프로토콜이다. TCP와 유사한 기능을 하고 인터넷 통신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프린터 서버와 프린터 간 통신에 사용된다 헤더의 크기는 42바이트이며 헤더에는 연결 제어, 데이터 스트림 타입, 송신 ID, 수신 ID, 순서 번호, 확인 일련번호, 위치번호가 있다. IPX/SPX이며 IPX와 함께 사용한다. TCP/IP와 같은 개념이다. IPX는 IP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NCP
Netware의 클라이언트, 서버간 파일 공유하기 위해 주로 사용한다 IPX/NCP이며 IPX와 같이 사용한다. 네트워크 계층을 담당하지만 IPX데이터그램으로 캡슐화하여 전송하여 전송계층이라 봐도 무방하다.
'Computer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DNS 테이블과 DNS 캐싱이란? (0) | 2021.05.14 |
---|---|
서브넷 마스크란? SubnetMask (0) | 2021.05.13 |
네트워크 오류 검출 방법과 종류 (0) | 2021.03.30 |
[Network/Protocol] IP 인터넷 프로토콜 (1) | 2021.03.22 |
[Network/Protocol] TCP란? (0) | 2021.03.17 |
댓글